한빛미디어
-
처음 시작하는 FastAPIReview 2024. 7. 28.
최근에는 프로덕션 레벨로 Java을 활용하여 작업을 이어오면서 개인프로젝트 몇몇을 제외하고는 Python 기반의 웹 서비스 개발을 거의 못하고 있었다. 종종 FastAPI에 대한 이야기를 듣곤 했었다. 작년말 해커톤에 참여할 일이 있었는데 그 때 함께 작업하시는 분이 FastAPI 이야기를 하셔서 1시간 정도 레퍼런스 문서를 보고 백엔드 API 서버를 만들기는 했었는데 이번에 이렇게 관련 서적을 읽을 기회가 있어서 한번 각을 잡고 읽어보게 되었다.Python을 개발언어의 강력함은 배우기 쉽고 이를 지탱하는 프레임워크가 굉장히 많다는 점이다. 그 중 웹 프레임워크는 과거부터 2가지 종류가 굉장히 인기가 많았다. 일종의 거대한 프레임워크라고 할 수 있는 Django와 대조적으로 경량화된 Flask이다. 어드..
-
You Don't Know JS Yet - 자바스크립트 개념, 스코프와 클로저Review 2024. 2. 25.
최근 함께 일하는 동료와 가볍게 JavaScript 주제로 이야기를 했었다. 기억나는 내용 중 하나는 JavaScript 개발자 면접관으로써 생각보다 숙력자를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JavaScript는 과거 웹 브라우저에서 동작시키기 위한 스크립트 언어였지만 이제는 서버뿐 아니라 앱 또는 GUI 개발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github 플랫폼에 가장 많이 등록되어 활용되는 개발언어이기도 하고 각종 리포트의 항상 상위권 인기에 머무르는게 이 언어이다. 같이 일하던 동료가 말하는 숙련자란 Javascipt를 잘 이해하고 서버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사람을 말한다. 그러한 관점에서 나 또한 비슷한 사람에 속한다. 오랫동안 다뤄왔지만 JavaScript 내부 동작에 대해 고민해보거나 개발 언어 특성에 맞..
-
Release의 모든 것Review 2023. 12. 25.
소프트웨어 개발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은 요구사항에 대한 정교한 설계 보다는 어떤 기술을 사용해서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되는데 운용을 포함한 입체적인 관점보다는 구현 자체에만 의미를 두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정교한 설계는 어떤 시스템과 통합될 것인지 그리고 사용하게될 사용자수는 어떻게 되는지, 안정성을 위해 테스트 시나리오는 무엇일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모든것을 포함하여 구현해야할 기능들에 대해 일정내 가능할지등 고민하는 것을 말한다. 문제는 실제 제품이나 서비스 운용 경험이 있어야 설계에 여러가지 고려사항들을 포함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thread safe하지 않는 API를 사용해서 간헐적으로 프로세스가 죽는다던가 또는 책에서도 나오는 예시로 try-catch-finally에서..
-
파이썬 크래시 코스Review 2023. 8. 26.
개인적으로 Python이란 개발언어를 활용하게 된지는 꽤 오래되었다.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라이브러리 종속적인 스크립트를 만들거나 CLI을 만드는 것으로 시작하여 웹 서비스 개발까지 경험하게 되었는데 현재의 Python의 위상은 그 이상으로 대단하다. Python은 윈도우, 리눅스, 맥과 같이 다양한 OS를 지원하고 쉬운 설치를 할 수 있다. 매우 쉬운 문법을 제공함으로써 아주 적은 코드로 개발을 할 수 있는데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는 이들에게 공부를 시작하는 첫 관문이 되기도 하고 데이터분석을 위한 시작이 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해외 웹 서비스로써 인스타그램이 있다. 과거 인스타그램은 Python을 활용하여 전세계 서비스를 운용하였을 정도이다. 최근에도 적극 활용하고 있는지는 별도 확인해보지 않았다 데이터 ..
-
AI로 일하는 기술Review 2022. 2. 22.
몇년 전 머신러닝 그리고 딥러닝 키워드가 인기를 끌었었다. 주변에 알고 있는 몇몇 회사들은 자사의 서비스에 AI를 도입하기 위해 열심히 검토를 했었고 이를 전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회사들도 많이 생겨난 것으로 알고 있다. 외주를 통해서 각 회사의 AI 도입 검토 및 모델링을 진행 해주는 것이다. 그 이후 인기가 완전히 사그러들었다고는 할 수 없지만 예전 같지는 않다고 생각을 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어보면서 나의 생각이 잘못되었다라는 것을 깨달았다. 우리 주변에 알파고 이슈, 챗봇, 인공지능 그림, 스피커등 다양한 영역으로 AI가 스며 들었기 때문에 그렇게 인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곰곰히 생각을 해보면 최근에 모바일 앱 중에서는 토익 그리고 수학 문제들에 대해 AI를 사용하여 학습자를 분석하고 맞춤 문제..